안녕하세요. 인천사람과문화입니다. 봄철이라서 그런지 점심식사를 하고 나면 졸음이 쏟아집니다. 바로 춘곤증인데요. 춘곤증은 겨울에서 봄으로 계절이 바뀌는 과정에서 겨울에 움츠러 있던 신체가 이완 되면서 나른함을 느끼는 것이라고 합니다. 춘곤증은 과일이나 봄 나물에 들어 있는 비타민 등을 섭취를 하면 쉽게 이겨낼 수 있다고 합니다. 회원 여러분께서도 상큼한 봄 나물과 함께 춘곤증 잘 이겨내시기 바랍니다.^^ 첫 번째 소식입니다. 신현수 이사장님의 여섯번째 시집 『인천에 살기 위하여』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은 정가 10,000원에서 20% 할인된 8,000원 입니다.『인천에 살기 위하여』 판매수익은 전액 인천사람과문화의 후원금이 됩니다. 구입을 희망하시는 분께서는 인천사람과문화(전화 : 032-518-0610, 문자 : 010-5518-6150)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주변에 많은 소개 부탁드립니다. 여기를 클릭하시면 시집 관련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다음은 회원 소식입니다. 인천사람과문화 고문이신 지용택 새얼문화재단 이사장님께서 몸담고 계시는 새얼문화재단 소식입니다. 새얼문화재단의 새얼아침대화가 4월 9일(수) 오전 7시 파라다이스호텔인천 2층 다이아몬드홀에서 진행됩니다. 이번 새얼아침대화는 김탁환 소설가를 강사로 모셔 '체험과 상상 - 정도전의 경우'라는 주제로 진행됩니다. 회원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여기를 클릭하시면 관련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인천사람과문화 회원분들께서 다수 참여하시는 인천국민동행 창립대회 소식입니다. 이사이신 강원구 前 인천민예총 정책위원장님, 도성훈 동인천고 선생님, 박찬대 한미회계법인 대표이사님, 윤대기 변호사님, 이은구 한국지엠 한마음재단 사무국장님, 회원이신 곽경전 부평미군기지시민협의회 부위원장님, 정재헌 문병호국회위원 정책특보님께서 참여하십니다. 박찬대 이사님께서는 운영위원장을 맡게 되셨다고 합니다. 인천국민동행 창립대회는 4월 10일(목) 오후 7시 부평구청 7층 대강당에서 열립니다.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다음은 인천사람과문화 회원이신 장한섬 플레이캠퍼스 대표님이 몸담고 계시는 플레이캠퍼스 소식입니다. 플레이캠퍼스가 '인천에 산다는 것, 청춘이 말하다.' 토크콘서트를 4회에 걸쳐 진행합니다. 토크콘서트는 5월 2일(금)부터 5월 한 달 간 매주 금요일 오후 7시 30분 문화공간 플레이캠퍼스에서 진행됩니다. 회원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여기를 클릭하시면 관련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은 회원 동정입니다. 인천사람과문화 회원이신 한희종 희망세상 어린이집 선생님께서 4월 12일(토) 오후 12시 30분 부평 아이엠예식장 5층에서 결혼식을 올립니다. 축하드립니다. 모두 축하해주세요.^^ 다음은 신입회원 소식입니다. 김윤옥 부광고등학교 선생님, 정호민 부광고등학교 정보부 교직원님께서 회원가입으로 인천사람과문화에 힘을 보태 주셨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모두 환영해 주세요.^^ 마지막으로 언론 통해 만나는 인천사람과문화입니다. 인천사람과문화 고문이신 이원규 소설가님의 '인천 지명고(考)', 조우성 인천일보 주필님의 미추홀 칼럼 세 편, 호인수 부개동 성당 주임사제님의 칼럼, 신현수 이사장님의 칼럼, 이사이신 임병구 인천여자고등학교 선생님의 칼럼, 회원이신 고동희 부평아트센터 관장님의 칼럼,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님의 칼럼, 노종면 국민TV 미디어협동조합 보도본부장님 관련기사, 류석형 만수고등학교 교장선생님 관련기사. 이종복 터진개문화마당황금가지 대표님의 칼럼, 이희환 시민과대안연구소 연구기획실장님의 칼럼 입니다.
오늘의 화요편지는 여기까지 입니다. 남은 한 주 즐겁고 보람차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다음 주 화요일에 다시 뵙도록 하겠습니다.^^ |
'화요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사람과문화] 화요편지 백마흔여섯 번째(14.04.22) (0) | 2014.04.21 |
---|---|
[인천사람과문화] 화요편지 백마흔다섯 번째(14.04.15) (0) | 2014.04.11 |
[인천사람과문화]화요편지 백마흔세 번째(2014.04.01) (0) | 2014.03.31 |
[인천사람과문화]화요편지 백마흔두 번째(2014.03.25) (0) | 2014.03.24 |
[인천사람과문화]화요편지 백마흔한 번째(2014.03.18) (0) | 2014.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