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인천사람과문화입니다. 내일부터 추석연휴가 시작됩니다. 무더운 여름을 견뎌낸 오곡백과가 결실을 맺는 때입니다. 연휴가 긴 만큼 고향에 다녀오시는 길도 다른 때보다는 수월할 듯 합니다. 오랜만에 만난 친지분들과 풍성한 마음 나누며 즐거운 시간 보내시길 바랍니다. ^^
지난 주 목요일 밥이 되고 꿈이 되는 2013 인천인문학콘서트 6강을 진행했습니다. 국제민주연대에서 공정여행을 초창기부터 기획해오고 계신 최정규 여행작가님을 모시고 우리가 흔하게 접하는 패키지 여행의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 진정한 여행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여기를 누르시면 강연 내용에 대한 신문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최정규 작가님과 참석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다음은 23회 인천숲포럼 소식입니다. 올해 인천숲포럼은 인천사람과문화의 고문을 모셔서 진행해왔는데요. 이번에 모실 분은 양승조 인천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이사장님이십니다. 살아오셨던 역사를 통해 인천의 내일을 함께 고민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9월26일 목요일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다음은 회원 소식입니다. 인천사람과문화의 고문이신 『조봉암 평전』의 저자 이원규 작가님께서 강연을 하십니다. 인천민주평화인권센터에서 주최하는 강연으로 10월1일 화요일 오후7시 부평구청 5층 중회의실에서 열립니다. 지난 번 인문학 콘서트 강연때 못오셨던 분들은 이번 기회에 참여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다음은 인천사람과문화의 이사이신 장구보 구보댄스컴퍼니 대표님의 공연소식입니다. 10월 4일 ~ 5일 부평아트센터 갤러리 꽃누리에서 무용 보이첵이 공연됩니다. 미리 예매하시는 30분에 한해서 30%할인혜택이 있다고 하니 미리 미리 예매하시길 바랍니다. 아래 포스터를 클릭하시면 바로 예매하실 수 있습니다. ^^
다음은 인천사람과문화의 회원이신 장한섬 플레이캠퍼스 대표님의 인문학강좌 소식입니다. 화도진도서관에서 주최하는 '길위의 인문학 인천 리딩 & 인천 워킹' 프로그램에서 노래, 음식, 영화, 소설을 통해 인천을 바라보는 강좌를 진행하십니다. 전체 프로그램 일정 중 10월12일은 인천사람과문화 회원이신 이종복 터진개문화마당 황금가지 대표님이 안내하시는 개항장 기행도 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부탁드립니다. 아래 포스터를 클릭하시면 화도진도서관 홈페이지로 연결되며 공지사항을 통해 접수안내를 보실 수 있습니다. ^^
다음은 평화도시만들기 인천네트워크에서 진행하는 행사소식입니다. 9월29일 평화도시실현과 평화아시안게임 개최를 염원하는 '함께 걷기 1004 프로젝트' 강화도 나들길 기행이있습니다. 인천의 미래를 위한 과제 중 하나가 바로 서해평화일 것입니다. 평화도시만들기 인천네트워크에서는 인천의 마음과 시민의 마음을 모아 1004km 걷기를 진행해왔고 이번이 그 마지막입니다. 인천사람과문화는 지난 8월 운영이사회에서 평화도시만들기 인천네트워크에 참여하기로 하였습니다. 가을을 맞아 나들이도 하시고 평화를 염원하는 마음도 모아주시길 바랍니다.
다음은 5회 길떠나는 인천공부 소식입니다. 강화도, 덕적도, 개항장, 인천둘레길에 이어 이번에는 대청도와 백령도를 이웃으로 두고 있는 작은 섬 '소청도'로 떠납니다. 10월26일(토)~27일(일) 1박2일로 떠납니다. 한달전에는 배편을 미리 예약해야하기 때문에 9월27일까지 신청을 받습니다. 인천사람과문화 이사이신 박준복 참여예산센터 소장님의 안내로 더욱 유익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많이 참여 부탁드려요. ^^
다음은 언론을 통해 만나는 인천사람과문화입니다. 인천사람과문화의 고문이신 지용택 새얼문화재단 이사장님의 칼럼과 한중일 국제학술회의 축사 전문, 소설가 이원규 선생님의 칼럼, 조우성 인천일보 주필님의 칼럼 세 편, 이사이신 박준복 참여예산센터 소장님의 칼럼, 회원이신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님의 칼럼, 김현석 인하대학교박물관 학예연구사님의 칼럼, 안병민 한국교통연구원 동북아북한연구실장님의 토론회 기사입니다.
오늘 화요편지는 여기까지 입니다. 행복한 추석연휴 보내시길 바랍니다. 늘 행복하세요~ ^^
|
'화요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사람과문화] 화요편지 백 열일곱 번째 (13.10.01) (0) | 2013.10.01 |
---|---|
[인천사람과문화] 화요편지 백 열여섯 번째 (13.09.24) (0) | 2013.09.24 |
[인천사람과문화] 화요편지 백열네 번째 (13.09.10) (0) | 2013.09.10 |
[인천사람과문화] 화요편지 백열세 번째 (13.09.03) (0) | 2013.09.03 |
[인천사람과문화] 화요편지 백열두 번째 (13.08.27) (0) | 2013.08.27 |